맨위로가기

사세보 진수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세보 진수부는 1886년 일본 해군 제3 해군구 진수부로 설치되어 사세보에 개청된 해군 기지이다. 1889년 정식 개청되었으며, 러일 전쟁 당시 일본 해군의 함선 수리 시설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태평양 전쟁 중 기지 시설이 확장되었으나, 1945년 사세보 공습으로 청사가 소실되었고, 일본의 항복 이후 미 해병대에 점령되어 1945년 11월 30일 폐지되었다. 현재는 주일 미 해군 사세보 기지와 해상자위대가 일부 시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시설은 일본 유산으로 인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세보시의 건축물 - 사세보 해군 기지
    사세보 해군 기지는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미국 해군 기지로, 과거 일본 제국 해군 기지에서 출발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유엔군과 미군의 주요 출항 기지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미국 제7함대와 해상자위대의 모항으로 사용되며 급유 및 탄약 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사세보시의 건축물 - 하우스텐보스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하우스텐보스는 네덜란드의 하위스 텐 보쉬 궁전을 재현한 복합 리조트 시설로, 다양한 테마존과 시설을 갖춘 규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며, 경영난 이후 H.I.S.의 인수 및 경영 재건을 거쳐 현재는 홍콩계 투자 회사 PAG에 매각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진해 경비부
    진해 경비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진해 요항부를 확대 개편하여 설치한 2차 해군 기지로,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해방 후 대한민국 해군이 기지를 인수하여 현재까지 주요 해군 기지로 사용하고 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사세보 해군공창
    사세보 해군공창은 사세보항을 군항으로 정비하기로 결정한 1886년에 기원을 둔 일본 제국 해군의 공창으로, 함정 수리 및 보급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경순양함, 구축함, 보조 함정 등을 건조하고 항공모함 개장 공사를 담당했으며, 현재는 주사세보 미국 해군 시설과 사세보 중공업으로 재편되어 운영되고 있다.
  • 일본 해군의 기지 - 마이즈루 기지
    마이즈루 기지는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해상자위대의 주요 기지로, 마이즈루 지방대, 제3호위대군, 제23항공대 등 여러 부대와 시설을 갖추고 일본해 방위 및 재해 대응 임무를 수행하며 환경 및 지역 안보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일본 해군의 기지 - 사세보 해군 기지
    사세보 해군 기지는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미국 해군 기지로, 과거 일본 제국 해군 기지에서 출발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유엔군과 미군의 주요 출항 기지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미국 제7함대와 해상자위대의 모항으로 사용되며 급유 및 탄약 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사세보 진수부
지도
기본 정보
명칭사세보 진수부
로마자 표기Sasebo chinjufu
위치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
종류진수부
존속 기간1889년 7월 1일 ~ 1945년 11월 30일
역사
설립1889년 7월 1일
폐쇄1945년 11월 30일
주요 사건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역할 및 기능
주요 임무규슈 서부 해역 방어
조선 해협 경비
군수 보급
함대 정비 및 수리
관할 구역동중국해, 서해 일부
주요 시설군항
조선소
해군 병원
해군 공창
수뢰 학교
해군 형무소
조직
사령장관해군대장 또는 해군중장
주요 부서참모부
경리부
군의부
법무부
기술부
건축부
항만부
주요 지휘관
초대 사령장관히지카타 도모마사
마지막 사령장관시바자키 리사부로
소속 부대
주요 함대제3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서해 함대
영향
관련 인물야마모토 이소로쿠
이노우에 시로
오자와 지사부로
관련 장소사세보 중공업
사세보 자위대 기지
현재일부 시설은 해상자위대 사세보 지방대가 사용 중

2. 연혁

중국한반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가사키현 사세보시는 메이지 정부 초기부터 전략적 중요성이 일찍부터 인식되었다. 1883년 도고 헤이하치로 당시 해군 중령이 해군 기지 후보지로 지목하면서, 1886년 일본 제국 해군 창설과 함께 5개 해군구(海軍区) 중 하나인 '제3 해군 구역'(第三海軍区)으로 지정되어 진수부(鎮守府) 설치가 결정되었다. 1887년 명칭이 '사세보 진수부'로 변경되었고, 1889년 7월 1일 공식적으로 개청했다. 기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1890년에는 메이지 천황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개청 기념식이 열렸다.

1898년에는 규슈 철도가 사세보역까지 연결되어 본토와의 접근성이 향상되었고, 1903년에는 사세보 해군 공창이 가동을 시작하여 점차 일본 최대의 조선소 중 하나로 발전했다. 진수부는 무기고, 어뢰 및 기뢰 공장, 해군 병원, 훈련소 등 자체적인 시설을 갖추고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미국 해군의 해상 전선 개념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 해군 구역은 자체적인 방어 및 지원 능력을 보유했다.

사세보 진수부는 특히 러일 전쟁 당시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 당시 최전선에 가장 가까운 함선 수리 시설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 중 많은 함선들이 이곳에서 수리와 보급을 담당했다. 이후 1920년에는 사세보 해군 항공대가 창설되었고, 1922년에는 하리노오 송신소가 완공되어 무선 통신 능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1905년 기함 미카사 폭발 침몰 사고, 1924년 제43호 잠수함 충돌 침몰 사고, 1934년 어뢰정 지도리가 인근 해상에서 악천후 속에 전복되는 사고 등 크고 작은 사건들이 발생했으며, 특히 지도리 사건은 당시 일본 군함 설계의 안정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태평양 전쟁 발발을 앞둔 1941년 무렵에는 기지 시설이 대폭 확장되었으며, 특별 해군 육전대의 주요 주둔지 역할도 맡았다. 전쟁 기간에는 약 6만 명의 인력이 함선, 잠수함, 항공기 정비 등에 종사하며 군사 작전을 지원했다.

전쟁 말기인 1945년 6월 28일, 미국의 사세보 대공습으로 인해 진수부 청사를 비롯한 주요 시설이 파괴되었다. 일본의 항복 이후 미국 제5 해병 사단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1945년 11월 30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현재 구 진수부 부지와 시설의 일부는 주일 미 해군 사세보 기지와 일본 해상자위대가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건물은 박물관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2016년에는 구 진수부 청사, 수도 시설, 창고군 등이 일본 유산으로 인정받았다.

구 사세보 해군 지구 무기고

2. 1. 설치 배경

규슈를 비롯한 서일본 지역 방위와 조선, 중국 등 동아시아 진출의 근거지 확보를 위해, 메이지 정부는 규슈 서쪽 해안에 해군 군항 설치를 추진했다.[1][3] 초기 후보지였던 나가사키는 항만이 좁고 민간 상업 활동에 지장을 준다는 반대와 토지 매입 비용 문제로 무산되었다. 이후 니시마쓰우라군 이마리, 기타마쓰우라군 히라도의 에부쿠로만, 히가시소노기군 사세보촌 등이 후보로 검토되었다.

1883년, 당시 해군 중령이었던 도고 헤이하치로는 작은 어촌이었던 사세보를 해군 기지의 이상적인 장소로 지목했다. 해군 내부 검토 결과, 사세보만은 "돌아보면 7리, 우라는 7우라 7곶[4]"이라 불릴 정도로 나가사키항의 11배에 달하는 넓은 면적을 가진 천연의 양항이었고, 당시 한적한 마을이라 토지 매입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험준한 산으로 둘러싸여 방어에 유리하고, 함선의 자유로운 항행과 정박이 가능한 깊고 잔잔한 만이라는 지리적 조건도 충족했다.[5] 이러한 이유로 사세보촌에 군항과 진수부를 설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5]

1889년 7월 1일, 사세보 진수부가 공식적으로 개청했으며, 초대 진수부 사령장관에는 아카마쓰 노리요시 해군 중장이 임명되었다. 사세보 진수부는 제3해군구(후쿠오카현 일부,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미야자키현 일부,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조선, 대만)를 관할 구역으로 삼았다. 기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1890년에는 메이지 천황이 직접 시찰하기도 했다.

2. 2. 주요 사건

연도날짜주요 사건비고
1883년8월군함 다이2테이보 (도고 헤이하치로 함장)가 오무라 만 측량을 위해 사세보 포구에 입항.책임자: 키모츠키 카네유키 해군 중좌.
1886년4월 21일진수부 관제가 제정되어, 사세보에 제3 해군구 진수부를 설치하기로 결정.
1887년9월진수부 관제 개정, 명칭을 사세보 진수부로 변경.
1889년7월 1일진수부 개청.초대 사령장관: 아카마츠 노리요시 해군 중장.
1890년4월 26일메이지 천황 임석 하에 개청 기념식 거행.
1898년1월 20일규슈 철도(현 JR 규슈)가 사세보역까지 개통.
1902년4월 1일사세보 시제 시행.
1903년11월사세보 해군 공창 설치.현재 사세보 중공업의 기원.
1905년9월 11일사세보항 내에서 연합 함대 기함 미카사가 폭발 사고로 침몰.이후 인양 및 수리됨.
1911년1월 6일사세보 해군 공제 조합 병원 개원.현 사세보 공제 병원.
1920년12월 1일사키베 앞바다 매립지에 사세보 해군 항공대 개설.
1922년11월하리노오 송신소 완성.12월부터 사용 시작.
1924년3월 19일아이우라의 다카시마 앞바다에서 훈련 중이던 제43호 잠수함경순양함 다쓰타와 충돌하여 침몰, 승무원 45명 전원 사망.
1934년3월 12일오다테지마 앞바다에서 훈련 중이던 어뢰정 지도리가 악천후 속에서 조난 전복되어 72명 사망, 28명 실종, 13명 생환.지도리 사건
1941년10월 1일지반 침하 문제로 히우에서의 개업을 포기한 제21 해군 항공창오무라에서 조업 시작.부지는 시라타케 공업 단지로 전용됨.
1945년6월 28일사세보 대공습으로 진수부 청사 등 주요 시설 소실.
1945년11월 30일일본 제국 해군의 해체와 함께 진수부 폐지.



3. 시설

규슈를 비롯한 서일본 지역 방위와 조선, 중국 등 동아시아 진출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일본 제국 해군은 규슈 서쪽에 군항 설치를 추진했다. 처음에는 나가사키가 후보지로 거론되었으나, 민간 상업 항구 기능을 방해한다는 반대와 토지 매수 비용 문제로 무산되었다.[1] 이후 니시마쓰우라군 이마리, 기타마쓰우라군 히라도의 에쿠부로만, 히가시소노기군 사세보 마을 등이 후보로 올랐다. 해군 내부 검토 결과, 천연의 좋은 항만 조건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당시 한적한 어촌이라 토지 매입 비용이 저렴했던 사세보 마을이 최종 선정되었다.[2] 사세보만은 당시 일본 최대 규모의 천연 항만으로 평가받았으며[3][4], 외적의 침입을 막기 좋은 지형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5]

1886년 진수부 설치가 결정되고, 1889년 7월 1일 사세보 진수부가 공식적으로 개청했다. 1890년에는 메이지 천황이 직접 참석하여 개청 기념식을 열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진수부 설치 이후 사세보에는 다양한 해군 시설이 들어섰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기본 인프라: 항구를 준설하고 방파제를 건설했으며, 군함 정박 및 수리를 위한 도크, 석탄 공급 시설 등이 마련되었다. 1898년에는 규슈 철도가 사세보역까지 연결되어 물자 수송이 용이해졌다.
  • 지휘 및 행정: 진수부 본부 청사를 중심으로 통신대, 군수부, 회계부, 건설부 등이 운영되었다.
  • 생산 및 정비: 1903년 사세보 해군 공창이 설치되어 함선 건조 및 수리를 담당했다. 이는 이후 일본 최대 규모의 조선소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현재 사세보 중공업의 전신이다. 또한 무기고, 어뢰, 기뢰, 해군 포병 및 관련 탄약을 생산하는 공장도 갖추었다.
  • 의료 및 복지: 1911년 사세보 해군 공제 조합 병원이 개원했으며, 이는 현재의 사세보 공제 병원이다.
  • 항공 및 통신: 1920년 사키베 앞바다 매립지에 사세보 해군 항공대가 창설되었고, 1922년에는 하리노오 송신소가 완공되어 무선 통신 능력을 강화했다. 1941년에는 제21 해군 항공창이 오무라에서 조업을 시작했다.
  • 방어 시설: 1942년 진수부 청사 지하에 총면적 약 700m2 규모의 방공 지휘소가 완공되어 군항 방어 지휘를 담당했다.
  • 기타: 해군 형무소, 해군 연료 창고, 진수부 수비대, 특별 해군 육전대 등이 주둔했다.


이 시설들은 러일 전쟁 당시 함선 수리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대규모 확장을 거쳐 함선, 잠수함, 항공기 정비 및 보급의 핵심 거점이 되었다. 전쟁 말기에는 약 6만 명이 조선소와 관련 시설에서 근무했다.

그러나 1945년 6월 28일 사세보 대공습으로 진수부 청사를 비롯한 많은 시설이 파괴되거나 소실되었다. 지하의 방공 지휘소는 피해를 면했지만, 종전 후 원인 불명의 화재로 내부가 소실되었다. 사세보 진수부는 1945년 11월 30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폐지 이후, 옛 진수부 시설의 일부는 주일 미 해군 사세보 기지와 해상자위대가 사용하고 있다. 일부 구조물은 박물관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2016년에는 진수부 청사 터, 수도 시설군, 무기고(타테가미 벽돌 창고군) 등이 일본 유산으로 인정받았다.

4. 역대 사령장관


5. 해방 이후

1945년 6월 28일, 대부분의 기지는 미국의 일본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일본의 항복 이후, 사세보는 미국 해병대의 미국 제5 해병 사단에 점령되었고, 사세보 해군 구역은 1945년 11월 30일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옛 기지 시설의 일부는 현재 미국 해군의 주일 미 해군 사세보 기지와 일본 해상자위대가 사용하고 있다. 옛 기지 구조물 중 하나는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6. 기타

2016년 4월 25일, 사세보 진수부 청사, 수도 시설군, 무기고군("타테가미 벽돌 창고군"이라는 이름으로) 등의 시설이 일본 문화청으로부터 일본 유산으로 인정받았다.

현재 사세보시에서는 구 일본 해군 및 사세보 진수부와 관련된 명물 요리로 '비프 스튜'와 '입항 젠자이'를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비프 스튜는 사령관이었던 도고 헤이하치로가 영국 유학 시절 즐겨 먹던 음식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고, 젠자이는 사세보를 포함한 일본 내 군항으로 배가 돌아오기 전에 함내 장병들에게 제공되던 것이었다. 따라서 실제로는 두 음식 모두 사세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구 일본 해군 전체와 관련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해군 부대 내에서는 チンタツサセニコイ|친타츠사세니코이일본어라는 성적인 농담이 유행하기도 했다. 이는 일제강점기 조선진해항에서 사세보항으로 귀항하는 승무원이 아내에게 "진해를 출발하니 사세보로 만나러 와 달라"는 의미로 보낸 전보 내용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이 전보를 받은 아내의 부모가 사위의 노골적인 표현에 질색했다는 이야기였으나, 이후 출항이 취소되어 チンタタズサセニクルナ|친타타즈사세니쿠르나일본어(발기하지 않으니 사세보로 오지 말라)라는 전보가 갔다는 이야기나, 며느리도 의외로 호의적이어서 チンムリニタタスナ スグサセユク|친무리니타타스나 스구사세유쿠일본어(발기 무리하게 시키지 마라 바로 사정하러 가겠다)라고 답신했다는 등의 이야기가 덧붙여졌다. 이러한 표현이 사용된 이유로는 전보 비용을 아끼기 위해 의미가 통하는 선에서 최대한 문장을 줄였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

고급 장교들은 상륙하면 시내 요정에서 유흥을 즐기곤 했다. 사세보의 요정은 '산'과 '강'이라는 은어로 불렸는데, '산'은 타니고초의 반쇼로(万松楼|반쇼로일본어)를, '강'은 '''이로하로'''(いろは楼|이로하로일본어)[8]를 가리켰다. 전쟁 후 '산'은 시내에서 가장 큰 여관으로, '강'은 아담한 요리집으로 바뀌었다.

참조

[1] 지도 市町村変遷パラパラ地図 完全版 佐賀県 http://mujina.sakura[...] 1889-04-01
[2] 지도 市町村変遷パラパラ地図 完全版 長崎県 http://mujina.sakura[...] 1889-04-01
[3] 서적 させぼ 歴史・文化 夢紀行 芸文堂 2001-10-15
[4] 서적 させぼ 歴史・文化 夢紀行 芸文堂 2001-10-15
[5] 웹사이트 鎮守府 横須賀・呉・佐世保・舞鶴 https://japan-herita[...]
[6] 웹사이트 旧佐世保鎮守府防空指揮所跡 https://www.city.sas[...]
[7] 웹사이트 当時にタイムスリップ!「海軍さんの散歩道」まち歩きツアーで佐世保を巡る https://tabizine.jp/[...] TABIZINE 2022-04-29
[8] 블로그 (2) 佐世保の “山” と “川” http://navgunschl.s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